| |
|
|
*매실팩 | |
|
방법 1 : 매실농축액 1큰 술, 계란 1 큰 술, 밀가루 2g |
| |
|
-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얘기가 있듯이 단감도 마찬가지이다.
|
*품종안내 | |
|
우리나라 고유의 단감은 지리산 남부에 산재되어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현재 재배되고 있는 단감은 1910년경에 도입 된것으로 본격적인 단감의 재배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주로 떫은 감나무를 재배하여 건시나 숙시 등으로 가공하여 이용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생식할 수 있는 단감을 개발하여 오늘날 많은 품종을 보유하게 되었다. 부유(만생종) - 단감 중에서는 가장 품질이 좋은 품종으로 일본 기후현이 원산 지이며 거창어소(居倉御所)의 계통이다. 우리나라에는 1910년경 도입되었고, 나무의 특징으로 수세는 강하고 신장성과 개장성은 있으나 큰나무는 되지 않는다.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으로 단감 재배 면적 중 82%를 차지한다. 상서조생(중생종) - 송본조생의 변이종으로 환전 단감이며 풍산성, 왜과이고 부유의 맛과 비슷하다. 차랑(중생종) - 일본 시즈오까 현에서 발견된 품종으로 부유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서촌조생(西初早生)(조생종) - 일본 시가현 니시무라씨 과수원에서 부유에 적시 화분이 수분되어 우연발생에 의하여 이루어진 품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968년 도입되어 1981년 원예시험장에서 조생종 품종으로 선발한 품종이다. 서초조생은 불완전 단감으로 품질은 그리 좋지 않으나 숙기가 빠르고 외관이 아름다운 특징이 있다. 대안담감(조생종) - 전남 무안군 톱머리가 원산지로 1908년경부터 재배가 되어 왔으나 단감의 진가를 인정받지 못하였다. 본래의 이름은 톱머리단감, 대홍시, 극대형 부유등으로 불러왔다. 송본조생부유(중생종) - 일본 교토부의 송본씨 과수원에서 부유품봉의 아조변이로 1935년경에 발견되었으며 숙기가 부유보다 2주 정도 빠르다. 그 밖의 특성은 부유와 거의 비슷하지만, 수세가 부유보다 다소 약하다. 이두(조생종) - 일본 농림 수산성 원예시험장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교배양친은 부유에 A-4 로 1970년에 선발한 완전단감이다. 이 품종은 조생종으로 유일한 완전단감이며 이 시기의 품종으로도 우수한 품종이다. 선사환(조생종) - 일본 가나가와현이 원산지이며 1214년 발견되었다고 전해오는 품종으로 오래된 품종이나 부유 품종의 수분수 혼식용으로 가치가 있는 품종이다. |
*생활요리 | |
|
감떡
감정과 햇볕을 듬뿍 받아 말린 단감부각 단감쨈 단감스낵 감차 |
*재배이력 | |
|
단감을 재배한 시기는 1920년대 초기부터라 할 것이며, 그때 일본인 <다양>이라는 사람이 정동면 풍정리 옥산(현 삼성항공아파트) 동북쪽에 약 1,000평 규모의 과원을 조성하고 일본에서 도입한 단감의 부 유(富有)라는 품종을 재배한 것이 그 효시가 되었다고 한다. 그후 1930년부터 앞에서 말한 수청부락의 최원경씨가 700여 평의 과원을 조성한 것이 계기가 되어 오늘날 본면이 대규모의 과수단지화한 시발점이라 할 것이다. 일본인 <다양>이 조성한 과원은 해방후 작고한 최병두씨가 관리하다가 노목으로 제거되고 지금은 무논으로 바뀌었다. 한편 단감이 경제성 있는 과수로 본격적인 재배를 시도한 것으로 고읍부락의 문효찬씨이며, 그는 1970년대초반부터 4000평의 과원을 조성하고 아울러 묘목을 다량생산 보급하면서 이로부터 급격히 재배면적이 확산되어 이른바 단감붐이 일어났던 것이며, 지금은 최고의 소득작목으로서 뿐 아니라 서부경남 최대의 주산단지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현재 재배하고 있는 단감의 품종은 부우가 85% 이상 차지하고 나머지는 서촌(조생종)이 12%, 기타 3%이다. |
*연구결과 | |
|
감의 이용과 의학 및 식품으로서의 가치 감은 옛날부터 한방(漢方)에서 감꼭지를 말려 딸국질에 달여 먹고, 땡감의 즙액은 뱀, 벌, 모기 등에 물린데 바르기도 하였다.
의학적으로 과실 및 감잎의 떫은 맛 성분인 탄닌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활성과 함께 뱀의 독소 및 박테리아 독소를 해독하는 작용, 면역기능 회복작용, 활성산소 제거작용 등을 하며 발암물질의 활성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감잎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도성분은 체내에서 고혈압 활성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킨다고 한다. 감 과실은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많은 식품으로 일상생활에 필요로 하는 비타민 A와 C의 1일 필요량은 감 1개를 먹으면 충분히 섭취된다. 비타민 C는 과실보다 감나무 잎에서 더 많은데, 감잎으로 만든 차는 비타민 A와 C를 공급하는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
*식품분석 | |
|
감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과수로서 비타민과 각종 영양소를 많이 함유한 자연 식품으로 일조량과 토질이 좋은 곳에서 생산 되는 사천 제일의 농특산물 감은 오랜 역사를 가진 과실로 풍부한 무기전분과 영양소를 가지고 있는 과실이다. 또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이뇨 작용에도 효과적이다. 감에는 카로틴(비타민 A를 함유한 황적색의 색소)과 비타민 C가 풍부하고, 특히 비타민 C는 귤의 두배나 되는 양을 함유하고 있다. 체내에서는 비타민 A로 변하는 카로틴과 비타민 C의 상승 효과로 몸의 저항력을 높여준다.
|
'자료실 > 팀블로그참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 원주시 특산품[대궐농장]토종닭,자연방사란,복숭아,태양초,고추,메주콩,판매 합니다. (0) | 2011.01.31 |
---|---|
◆경남 사천시 특산품[성주농원]가야산 산사과,고구마,곰취,돼지감자,야콘,울금,장아찌용참외,참외,토마토,야콘엑기스,울금엑기스,울금분말,울금환 (0) | 2011.01.31 |
◆경남 사천시 특산품[사천녹미영농조합법인]사천녹미,찰녹미,찰흑미,찰현미,찹쌀 (0) | 2011.01.29 |
◆경남 진주시 펜션[해오름펜션]주변관광지,진주남강축제(유등축제),진양호,진주성.... (0) | 2011.01.28 |
◆충남 당진군 특산품[아삽야콘농원]야콘,둥근마,야콘즙,야콘샐러드,야콘잎쌈밥,야콘특징,상식,야콘 보관방법 (0) | 2011.01.28 |